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임대료 인상 제한
- 상가렌탈프리
- 부동산 계약서 작성 요령
- 오블완
- 부동산 중개 실무
- 상가임대차계약
- 임대차 계약 승계
- 등기부등본 확인 방법
- 상가관리비
- 상가 용도변경 절차
- 상가 임대차 계약
- 상가 계약서 작성 팁
- 임대차 계약 특약
- 주택임대차보호법
- 렌탈프리기간
- 무상임차기간
- 상가계약서작성
- 임대차 계약 특약 작성
- 상가 계약 특약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 건축물대장 확인 방법
- 상가임대차보호법
- 상가 임대차 계약 특약
- 상가임대차주의사항
- 상가인테리어
- 임차인 권리 보호
- 티스토리챌린지
- 상가 매매 부가세
- 상가 계약서 작성법
- 상가계약기간
- Today
- Total
목록2025/03/21 (2)
woospik

농지를 공장용지로 전용하여 농지보전부담금을 면제받은 창업중소기업이라면, 5년 이내에 해당 부지를 매매하거나 임대할 경우 면제받은 부담금을 납부해야 한다는 조건을 알고 계실 것입니다. 그렇다면, 5년이 지난 후에 잔금을 받고 명의변경을 진행하면 문제가 없을까요? 오늘은 농지보전부담금 면제 후 5년 경과 시 매매 절차와 유의사항에 대해 살펴볼까 합니다. 명의변경 시점의 중요성농지보전부담금 면제 조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명의변경 시점입니다. 계약금과 중도금을 5년 내에 받더라도, 명의변경이 5년이 지난 후에 이루어진다면 부담금을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5년 내에 계약을 체결하고 일부 금액을 수령하더라도, 명의변경이 5년 이후에 완료되면 문제가 없습니다. 계약 체결 시점과 명의변경계약 자체는 5년 ..

안녕하세요.오늘은 토지와 주택의 소유자가 다른 경우, 주택이 있는 토지와 주택의 매매 계약서 작성과 신고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예를들어, 토지는 아버지 명의인데, 그 위에 있는 주택은 자녀들 공동명의라면요. 이 물건을 매수자랑 계약을 진행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런상황을 처음 접하다보면, 계약서 작성이랑 실거래 신고 방법까지 헷갈릴 수밖에 없죠. 한번 천천히 살펴볼까요?주택과 토지 각각의 계약서 작성 방법 먼저, 주택과 토지의 소유자가 다를 경우에는 두 가지 방법으로 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어요. 옵션 A: 분할 계약서 작성주택과 토지를 별도로 계약하여 각각의 소유자(토지: 홍길동, 주택: 철희, 영희, 민수)와 계약서를 작성합니다.이 방법은 각 소유권에 대해 명확한 계약서가 작성되므로 세금..